2023년 공휴일과 연휴 일정
2023년 연휴: 2023년 신정은 일요일이므로 신정 연휴는 없어서 이틀만 쉬게 됩니다. 하지만 1월 21일부터 24일까지 여섯 번째 주의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설 연휴로 인해 네 일간 쉬게 됩니다.
그리고 3월 1일의 삼일절은 수요일이므로 아쉽게도 연차 쓰기에는 애매한 공휴일입니다. 하지만 5월 1일인 근로자의 날은 화요일이므로 휴일을 추가로 만들어 긴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만약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한다면, 총 공휴일 수는 67일이며 이에 토요일 52일이 더해져 휴일 수가 119일이 됩니다. 그러나 공휴일 중 토요일과 겹치는 날은 총 3일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쉬는 날은 116일이 됩니다.
아래는 2023년 공휴일과 연휴의 일정을 정리한 표입니다.
일자 | 요일 | 일정 |
---|---|---|
1월 1일 | 일요일 | 신정 |
1월 21일 ~ 24일 | 월요일 ~ 목요일 | 설 연휴 |
3월 1일 | 수요일 | 삼일절 |
5월 1일 | 화요일 | 근로자의 날 |
6월 6일 | 화요일 | 현충일 |
8월 15일 | 화요일 | 광복절 |
9월 21일 ~ 24일 | 목요일 ~ 일요일 | 추석 연휴 |
10월 3일 | 화요일 | 개천절 |
10월 9일 | 월요일 | 한글날 |
12월 25일 | 월요일 | 크리스마스 |
위의 일정을 보면, 2023년에는 총 11일의 공휴일과 4개의 연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잘 활용하여 일년 내내 힘내시길 바랍니다.
2023년 연말 연시 공휴일 알아보기
2023년의 연말 연시 공휴일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연말에는 12월 25일인 크리스마스와 31일인 신정으로 인해 쉬는날이 있습니다. 이 공휴일은 대표적인 연말 연시 공휴일이며, 많은 사람들이 쉬어서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갖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에 더불어, 연세가 들어가면서는 국경일인 새해 첫날인 1월 1일과 3일 연휴인 설날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연말보다는 연시라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1월 27일부터 2월 1일까지는 설연휴로 인해 총 6일간의 쉬는 날이 주어집니다. 이러한 연속된 휴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가거나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낼 계획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봄철에 대한 공휴일을 살펴보겠습니다. 계절의 기운을 느끼면서 봄을 맞이하는 3월에는 삼일절이 있어 무엇보다도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4월에는 공휴일이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식목일이 있어 봄철에 나무를 심고 자연을 보호하는 문화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3년의 식목일은 4월 5일이며, 이 날은 대체공휴일이 없습니다.
5월에는 부처님 오신 날이 있지만, 아쉽게도 토요일이어서 대체공휴일이 주어지지 않습니다. 즉, 이번 연말 연시에는 대체공휴일이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는 가을에 대한 공휴일을 살펴보면, 추석 연휴가 있습니다. 추석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 중 하나입니다. 2023년 추석은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3일간 진행됩니다. 이번 연말 연시에도 추석 연휴로 총 10일간의 쉬는 날이 주어집니다.
위의 정보를 토대로, 2023년 연말 연시 공휴일을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월 | 공휴일/연휴 | 휴일 일수 |
---|---|---|
1월 | 설날 연휴 | 4일 |
2월 | 0일 | |
3월 | 삼일절 | 1일 |
4월 | 식목일 | 1일 |
5월 | 부처님 오신 날 | 1일 |
6월 | 0일 | |
7월 | 0일 | |
8월 | 0일 | |
9월 | 추석 연휴 | 3일 |
10월 | 0일 | |
11월 | 0일 | |
12월 | 크리스마스, 신정 | 2일 |
2023년 황금 연휴와 연휴 계획
2023년은 황금 연휴가 다수 포함된 해이다. 5월 달에는 5일을 합쳐진 ‘근로자의 날+어린이날+석가탄신일’ 연휴와 6월달에는 대통령선거가 있는 6월 6일인 ‘현충일’을 더한 10일간의 황금 연휴가 있다. 또한 10월달에도 9일간의 ‘한글날+개천절+추석연휴’가 있다.
이렇게 다양한 연휴가 있는 2023년, 가족들끼리 꼭 가야할 여행지가 있는 경우 미리 예약을 해두는 것이 좋다. 하지만 초등학교에 다니는 큰아이가 있는 경우 출교일과 연휴 기간이 겹치기 때문에 섣불리 예약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우리 가족 상황에 맞게 여유있게 계획을 세워 가장 좋은 선택을 할 필요가 있다.
2023년 12월에는 성탄절이 월요일이다. 이전 몇 년 동안은 성탄절이 주말이었기 때문에 잘 기억되는데, 이번에는 공휴일이 평일로 이어져서 근무 계획을 세울 때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아래는 2023년 황금 연휴와 관련된 일정표이다.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1 | 2 | |||||
3 | 4 | 5 (근로자의 날) (어린이날) |
6 | 7 | 8 | 9 (석가탄신일) |
10 (대통령선거) |
11 | 12 | 13 | 14 | 15 | 16 (현충일)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크리스마스) |
26 (대체 공휴일) |
27 | 28 | 29 | 30 |
31 |
위 일정표를 참고하여, 가족들끼리 함께 보내는 황금 연휴와 성탄절을 즐기면서 행복한 추억을 만들어보자.
2023년 연휴 기간과 현충일
연도 | 날짜 | 요일 | 기념일 |
---|---|---|---|
2023년 | 6월 6일 | 화요일 | 현충일 |
2023년 | 6월 24일 | 금요일 | 석가탄신일 전날 |
6월 27일 | 월요일 | 석가탄신일 대체공휴일 | |
2023년 | 5월 1일 | 월요일 | 근로자의 날 |
위 표를 보면, 2023년에는 현충일은 6월 6일에 있습니다. 이에 따라, 6월은 국가공휴일인 현충일을 기념하는 달입니다. 또한, 6월에는 석가탄신일이 있어, 6월 24일(석가탄신일 전날)과 6월 27일(석가탄신일 대체공휴일)은 연휴로 즐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23년에는 근로자의 날도 포함되어 있지만, 대체공휴일이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연휴 기간에는 즐거운 휴식을 취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