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 청년주택이란?
역세권 청년주택: 역세권 청년주택은 대중교통이 용이한 지역에 청년과 신혼부부들을 위해 공급하는 주택 사업입니다. 이러한 주택들은 역세권 내 규제완화 및 체계적인 개발을 통해 만 19세 이상부터 만 39세 이하의 청년과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공급합니다. 이는 청년들이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청년주택의 공급은 한정적입니다. 현재는 2023년 1차 역세권 청년주택 입주자 모집공고가 났는데 해당 지역은 서울시 강동구 지역입니다. 2023년 상반기 및 하반기 계획 중인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 신림역, 잠실역, 신길역, 선릉역, 동대문역, 양천향교역 등에 위치할 예정입니다.
역세권 청년주택에 대한 장단점
역세권 청년주택은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뛰어난 지역에 위치하므로, 교통비 절약과 편리한 이동이 가능합니다. 또한, 각종 시설과 편의시설이 가까운 곳에 위치하므로 생활이 편리합니다. 또한, 부동산 가치가 안정적이며 재건축 등으로 인한 부동산 가치 상승 가능성도 높습니다.
하지만, 역세권 청년주택의 가격은 일반적인 아파트에 비해 저렴하지만, 지역별로 차이가 있고, 입주자 자격제한 때문에 경쟁률이 높습니다. 또한, 주변 시설이나 재산 가치 등의 오랜 시간 간의 변화에 따라 부동산 가치 하락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역세권 청년주택과 청년들의 선택
역세권 청년주택에 입주하기 위해서는 자격요건을 충족해야하며, 경쟁률도 높기 때문에 너무 낙천적으로 접근하면 안됩니다. 하지만, 저렴한 가격과 편리한 생활환경 등의 장점들로 인해 여전히 청년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그러나, 청년들이 역세권 청년주택을 선택할 경우, 해당 지역에 대한 충분한 조사를 하고, 미래 지역 발전 가능성 등을 고려해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역세권 청년주택은 처음 5년간은 임대주택으로서 사용되며, 이후 주택 구매나 계약 연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역세권 청년주택 관련 공지사항
아래는 2023년 1차 역세권 청년주택 입주자 모집공고가 났으며 해당 지역은 서울시 강동구 지역입니다. 또한, 2023년 상반기 및 하반기 게획 중인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 신림역, 잠실역, 신길역, 선릉역, 동대문역, 양천향교역에 위치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역 | 종류 | 규모(호) | 공급면적(㎡) | 입주 예정 시기 |
---|---|---|---|---|
강동구 상일동 | 아파트 | 821 | 35,997 | 2023년 10월 중旬 |
양천구 목동 | 아파트 | 1,160 | 51,002 | 2023년 10월 중旬 |
강동구 고덕동 | 아파트 | 939 | 41,935 | 2023년 11월 |
양천구 신정동 | 오피스텔 | 216 | 9,652 | 2023년 10월 중旬 |
위 표와 같이, 역세권 청년주택은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해당 주택을 원하시는 청년들은 관련 공고문을 꼼꼼히 살펴보고 준비를 해야합니다.
2023년 1차 역세권 청년주택 입주자 모집 공고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는 2023년 1차 역세권청년주택 입주자 모집 공고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번 입주자 모집 공고는 서울시와 SH가 공동으로 매입하여 청년 및 신혼부부 계층들의 주거안정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서, 분양전환되지 않습니다.
역세권청년주택은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등 대중교통수단이 편리하게 위치한 지역에 건설되어, 접근성이 뛰어나며 생활 편의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어 청년들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고자 꾸준히 공급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2,850가구의 역세권청년주택이 공급되어, 많은 청년들이 주거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이번에 공고된 입주자 모집 공고에는 역세권 27개 소재지의 1,870가구가 포함되어 있으며, 청년과 신혼부부 계층들이 대상입니다.
이번 역세권청년주택의 모집 공고에서는 여러 계층의 세부 자격 사항도 공고문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편접수는 받지 않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역세권 청년주택 입주자 모집 공고의 요약정보입니다.
공급주택 | 역세권 청년주택 |
---|---|
공급규모 | 1,870가구 (27개 지역) |
공급형태 | 공공임대주택 (분양전환 불가) |
분양가 | 없음 |
방 구성 | 1~3룸 |
자격요건 | 1)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신혼부부 2)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미혼 청년 ※ 소득 및 자산기준 적용 (공고문 참고) |
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 |
접수기간 | 2022. 5. 31.(월) ~ 6. 9.(목) |
참고: 자세한 사항은 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서울의 역세권 청년주택, 내년 공급 예정
서울시에서는 청년층의 주거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을 시작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간선도로변 등에 신규로 선정된 청년안심주택 물량은 내년 이후 추가된다”고 밝혔습니다. 내년에는 7,924가구, 2025년에는 1만 3000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 중 80%는 민간임대, 20%는 공공임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금리 상황에서 청년층의 주거난 문제가 가중되면서 경쟁률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까지는 1만 2000가구가 이미 입주하고 있습니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대중교통이 편리한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출퇴근 및 이동이 편리합니다. 또한 최신 설비 시설과 세대당 사용면적 제한이 있는 등 청년을 위한 최적의 주거공간입니다.
아래는 역세권 청년주택의 상세한 정보를 담은 표입니다.
구분 | 면적 | 가격 | 공급 예정 |
---|---|---|---|
민간임대 | 25 ~ 79㎡ | 200 ~ 640만원 | 6,339가구 |
50 ~ 79㎡ | 496 ~ 640만원 | 1,370가구 | |
60 ~ 79㎡ | 600 ~ 640만원 | 805가구 | |
공공임대 | 32 ~ 39.6㎡ | 150 ~ 190만원 | 1,585가구 |
주거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세권 청년주택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예정이니, 청년들은 기회가 생길 때마다 신청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