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기준 차상위계층 조건과 중위소득 알아보기
차상위계층 조건: 2023년 기준 중위소득 50%는 아래와 같으며, 중위소득은 가구를 구성하는 구성원별 그리고 매년 달라지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에 따라서 차상위계층 조건을 알아보면, 소득 관련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이면서, 동시에 아래 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차상위계층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월 소득이 최저생계비 이하: 이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유사한 수준으로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대학 등록금 연간액의 80% 이하인 가구: 자녀의 교육비로 인해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운 가구를 지원합니다.
– 실직자로서 3개월 이상 실업급여 수급자: 일시적인 실직으로 인해 생활이 어려운 분들을 지원합니다.
–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닌 가구 중 의료비, 교육비 등 생활비로 인한 부채가 있는 경우: 생활비로 인한 부채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는 가구를 지원합니다.
위의 차상위계층 지원 조건을 충족하는 가구는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정부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조건에 해당하는 가구라면 꼭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이 없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2023년 기준 중위소득 50% 금액을 가구원 수 별로 정리한 표입니다.
가구원 수 | 월 평균 소득 | 연간 평균 소득 |
---|---|---|
1 | 1,469,000원 | 17,628,000원 |
2 | 2,457,000원 | 29,484,000원 |
3 | 3,211,000원 | 38,532,000원 |
4 | 3,961,000원 | 47,532,000원 |
5 | 4,667,000원 | 56,004,000원 |
6 | 5,419,000원 | 65,028,000원 |
중위소득 50% 이하에 속하는 가구는 자녀 교육비, 의료비, 생활비 등 경제적인 부담이 큰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정책 지원이 더욱 필요한 시점입니다.
취약계층을 위한 동절기 에너지바우처 지원 대책 발표
한국 정부는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 대책 중 하나로 동절기 에너지바우처를 제공합니다. 이번에 발표된 대책에 따르면, 도시가스요금이 폭등하면서 취약계층을 위해 동절기 에너지바우처 지원단가가 2배 추가 인상되었습니다.
지원 금액은 가구당 최대 10만원으로 2022년도에 총 1조 1500억원이 지원됩니다. 여름 바우처 잔액은 겨울 바우처로도 사용 가능하므로, 가구별로 조금 상이할 수는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대책은 취약계층의 난방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난방에너지 지출이 많은 도시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아래는 동절기 에너지바우처 지원 금액을 가구원 수에 따라 정리한 표입니다.
가구원 수 | 지원 금액 |
---|---|
1인 가구 | 10만원 |
2인 가구 | 15만원 |
3인 가구 | 20만원 |
4인 가구 | 27만원 |
5인 이상 가구 | 33만원 |
취약계층의 에너지 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이번 동절기 에너지바우처 지원 대책은 많은 시민들의 후원과 협조가 필요합니다. 함께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에 기여해 보세요.
차상위계층에 대하여
한국에서 차상위계층은 기준 중위소득 50%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 속하는 계층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정부에서 정한 최저생계비로, 정확한 선정 기준은 정부에서 규정하는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50% 이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근로 능력이나 소정의 자산이 있어 기준 소득이 최저 생계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차상위계층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상위계층은 경제 수준 최하위 단계인 기초생활수급자보다는 높은 수준이지만, 여전히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계층입니다.
아래 표를 통해 차상위계층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분류 | 소득인정액 | 소득기준 |
---|---|---|
차상위 1종 | 중위소득 50% 이상 ~ 65% 미만 | 저소득층 대상 부분 지원 |
차상위 2종 | 중위소득 30% 이상 ~ 50% 미만 | 전액 지원 대상 |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차상위계층은 상급자에 비해 지원 대상이 적지만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계층으로 분류되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지원은 정부가 제공하는 사회복지 정책이나 보조금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