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e” 관련 내용
None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특별한 값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
데이터가 없는 경우: 값이 비어 있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 None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항목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None을 사용하여 빈 값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값이 할당되지 않은 경우: 변수에 아직 값이 할당되지 않은 경우 None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변수를 선언했지만 아직 초기화하지 않은 경우 None을 사용하여 변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알 수 없는 값: 특정 값을 알 수 없는 경우 None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함수의 반환 값이 예측 불가능하거나 알 수 없는 경우 None을 사용하여 불확실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None을 사용하는 장점:
코드의 명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외 상황을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None을 사용하는 단점:
코드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디버깅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None과 관련된 함수:
isNone(): 값이 None인지 확인하는 함수입니다.
isinstance(): 값이 특정 유형인지 확인하는 함수입니다.
getattr(): 객체의 속성을 가져오는 함수입니다.
setattr(): 객체의 속성을 설정하는 함수입니다.
None을 사용하는 예시:
python
# 변수에 None 값 할당
x = None
# 데이터베이스에서 값 가져오기
y = database.get_value(“key”)
if y is None:
# 값이 없는 경우 처리
# 함수의 반환 값 확인
z = function()
if z is None:
# 값이 예측 불가능하거나 알 수 없는 경우 처리
참고자료:
https://docs.python.org/3/library/constants.html#None
https://www.w3schools.com/python/python_ref_keywords.asp
민원 신청
“민원 신청”을 선택합니다. 민원마당 또는 모바일 민원마당에 접속합니다.
근로계약서 미작성 신고는 근로자가 해당 고용주로부터 근로계약서를 제공받지 않았거나 작성되지 않은 경우에 서면으로 제기하는 신고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민원마당을 통해 바로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민원마당에서는 이와 같은 서면근로계약 민원을 쉽게 제기할 수 있도록 모바일 민원마당을 준비하였습니다.
민원 신청을 누르면 부당노동행위, 성차별, 성희롱, 임금체불 등 다양한 근로 관련 민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고 방법은 간단하며, 신고 접수 후에는 담당자가 신속하게 처리해 드립니다.
아래 표는 민원 신청 방법을 간략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접속 방법 | 신고 방법 |
---|---|
민원마당 (PC) |
|
모바일 민원마당 (스마트폰) |
|
민원 신청과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은 민원마당 고객센터 (☎ 1833-2100) 또는 고용노동부 근로상담센터 (☎ 1350)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고용노동부 – 근로계약서 미작성 또는 미교부 신고 안내
고용노동부는 근로계약서 미작성 또는 미교부 시 신고 방법 및 절차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근로계약서에는 중요한 근로조건의 정보가 있으므로, 임금 체불 등이 발생했을 경우 미작성 또는 미교부 상태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신고 방법 및 절차
근로계약서 미작성 또는 미교부 신고는 다음 방법을 통해 가능합니다.
방법 | 절차 |
---|---|
고용노동부 근로감독사무소 방문 |
1. 가까운 고용노동부 근로감독사무소를 방문합니다. 2. 신분증과 근로계약서 (있는 경우)를 제출합니다. 3. 근로감독사무소 직원에게 상황을 설명합니다. |
온라인 신고 |
1.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https://www.moel.go.kr/) 접속 2. 상단 검색창에 “근로계약서 미작성 신고” 검색 3. 신고서 작성 후 제출 |
전화 신고 |
1. 고용노동부 근로상담센터 (1350) 전화 2. 상담원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신고 |
미작성 또는 미교부 시 불이익
근로계약서 미작성 또는 미교부로 인해 벌금이나 과태료 등 행정적인 불이익은 없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임금 체불 등 분쟁 발생 시 근로자가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근로복지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사업주가 근로기준법 위반 시 가중 처벌될 수 있습니다.
주의 사항
근로계약서는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문서입니다. 근로계약 체결 시 반드시 서면으로 작성하고,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여 서명해야 합니다. 또한, 근로계약서 내용 변경 시에도 서면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문의
근로계약서 미작성 또는 미교부 관련 문의는 고용노동부 근로상담센터 (1350) 또는 가까운 고용노동부 근로감독사무소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